cs/network

[네트워크/network] 데이터 전송 방식 (점대점 방식, 브로드캐스팅 방식)

hrniin 2021. 3. 26. 14:02
728x90

전송과 교환
- 교환(Switching): 갈림길에서 데이터가 전송되어야 할 경로를 선택
- 전송(Transmission): 물리적으로 1:1 연결된 시스템 사이의 데이터 전송

 

 

점대점(Point-to-Point)방식
- 통신하고자 하는 두 호스트를 중계 과정을 거쳐 연결
- 교환 기능이 필수적이며 단계적으로 반복
- 주로 WAN과 같이 원거리 통신 환경에서 사용

- 스타형, 링형, 완전형, 불규칙형
- 연결 수가 증가하면 성능적인 면은 유리하지만 비용이 증가됨

 

1) 스타형

• 중앙의 중계 호스트 주위로 여러 호스트를 1:1 연결
• 중앙 호스트의 성능과 신뢰성이 중요
• 트리형: 스타형을 다단계로 확장

 

2) 링형
- 호스트의 연결이 순환 구조를 이룸
- 모든 호스트가 전송과 교환 기능을 수행
- 토큰
   데이터 전송을 원하는 호스트는 미리 토큰을 확보해야 함

   데이터는 링을 한 바퀴 순환한 후, 다시 송신 호스트에게 돌아옴

   자신을 목적지로 하는 호스트만 데이터를 보관하고, 다른 호스트는 버림
   데이터 전송이 완료되면 호스트는 토큰을 반납해야 함

3) 완전형

 

4) 불규칙형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 방식
- 호스트들이 공유 전송 매체에 연결
- 교환 기능이 불필요(자신에게 오는 데이터 중 불필요한 것은 버림)
- 주로 LAN과 같이 근거리의 통신 환경에서 사용

- 네트워크에 연결된 모든 호스트에게 데이터를 전달하는 방식
- 버스형과 링형

 

1) 버스형
- 공유 버스에 모든 호스트를 연결
- 둘 이상의 호스트가 데이터를 전송하면 충돌 발생
- 충돌 문제의 해결 방법
   사전 예방: 전송 시간대를 다르게 하는 방법과 토큰 제어 방식이 가능
   사후 해결: 충돌을 감지하는 기능이 필요 (예: 이더넷)


2) 링형
- 호스트를 순환 구조로 연결
- 송신 호스트가 전송한 데이터는 링을 한 바퀴 순환한 후 송신 호스트에 되돌아옴
- 중간의 호스트 중에서 수신 호스트로 지정된 호스트만 데이터를 내부에 저장
-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토큰 확보가 필수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