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네트워크(Network)
- 전송 매체로 서로 연결된 시스템의 모음
-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교환하는 시스템의 집합을 통칭
- 라우터(Router) : 네트워크의 중계 장비
시스템(System)
- 내부 규칙에 따라 능동적으로 동작하는 대상(물리적, 논리적 대상으로 구분)
- 예: 컴퓨터, 자동차, 커피 자판기, 마이크로 프로세서, 운영체제, 프로세스
인터페이스(Interface)
- 시스템과 시스템을 연결하기 위한 표준화된 접근 방법
- 예: RS-232C, USB 통신 규격(논리적 규격과 물리적 규격이 필요)
전송매체(Transmission Media)
- 시스템끼리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한 물리적인 전송 수단(케이블, 공기, 전파)
프로토콜(Protocol)
- 전송 매체를 통해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한 특정 규칙 (통신 규약)
- 인터페이스와 차이점 : 인터페이스는 두 시스템이 연동하기 위한 특정한 접촉 지점을 의미
- 프로토콜은 주고 받는 정보의 형식과 그 과정에서 발생하는 일련의 절차적 순서를 의미
인터넷(Internet)
- 전세계의 네트워크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동작하는 통합 네트워크
- 데이터 전달 기능: IP(Internet Protocol) 프로토콜 사용
- 인터넷이라는 용어는 IP 프로토콜의 첫 글자에서 유래함
표준화(Standardization)
- 서로 다른 시스템이 상호 연동해 동작하기 위한 연동 형식의 통일
- 시스템의 표준화, 인터페이스의 표준화, 프로토콜의 표준화
ex) A4 용지의 사이즈를 통일 시킴
노드(Node)
- 인터넷에 연결된 시스템의 가장 일반적인 용어
-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는 모든 시스템(라우터 등도 포함)
호스트(Host) : 컴퓨팅 기능이 있는 시스템(응용 프로그램이 실행)
- 클라이언트(Client) : 서비스를 요청하는 시스템
- 서버(Server) : 특정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클라이언트의 요청을 기다리는 대기 상태)
* 클라이언트와 서버는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 결정됨
- 프로토콜: 서로 다른 호스트에 위치한 동일 계층끼리의 통신 규칙
- 인터페이스: 같은 호스트에 위치한 상하위 계층 사이의 규칙
- 서비스: 하위 계층이 상위 계층에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cs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Network] 서비스 프리미티브(primitive) (0) | 2021.03.14 |
---|---|
[네트워크/Network] 프로토콜 설계 시 고려 사항(주소 표현/오류 제어/ 흐름 제어/데이터 전달 방식) (0) | 2021.03.14 |
[네트워크/Network] 네트워크의 모듈화/계층 구조 (0) | 2021.03.14 |
[네트워크/Network] 네트워크 주소의 표현 (0) | 2021.03.14 |
[네트워크/Network] 인터네트워킹, 게이트웨이(리피터/브리지/라우터), 계층 별 프로토콜 데이터 단위 (0) | 2021.03.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