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1. 관계 데이터 모델
관계 데이터 모델(relational data model)은 수학적인 릴레이션(relation)을 기초로 하고있다.
열(column) = 필드(field) = 아이템(item) = 애트리뷰트 (attribute)
행(row) = 레코드(record) = 튜플(tuple)
관계 데이터 모델에서 데이터 값들은 더 분해하려 해도 분해할 수 없는 원자 값(atomic value)만을 허용한다.
도메인(domain): 하나의 애트리뷰트가 취할 수 있는 값들의 집합
단순 도메인(dimple domain): 원자 값으로 된 도메인
단순 애트리뷰트(simple attribute): 단순 도메인 위에 정의된 애트리뷰트 (원자 값)
복합 도메인(composite domain): 두 개 이상의 단순 도메인들을 별개의 한 도메인으로 정의한 것 (예를 들어 YEAR, MONTH, DAY라는 단순 도메인을 <YEAR, MONTH, DAY>라는 도메인으로 정의한 경우)
복합 애트리뷰트(composite attribute): 복합 도메인으로 정의된 애트리뷰트
2. 릴레이션의 개념
릴레이션 스키마(relation schema): 릴레이션 이름+애트리뷰트 이름
릴레이션 인스턴스(relation instance): 어느 한 시점에 릴레이션 R이 포함하고 있는 투플들의 집합
릴레이션은 개념적으로 릴레이션 스키마와 릴레이션 인스턴스를 합친 것이라 할 수 있다. 릴레이션 인스턴스는 삽입, 삭제, 갱신으로 시간에 따라 그 내용이 변하는 동적 성질을 가지고 있지만 릴레이션 스키마는 정의 자체이므로 시간에 따라 변하지 않는 정적인 성질을 가지고 있다.
카티션 프로덕트(cartesian product): 두 개의 도메인으로 나타날 수 있는 모든 경우의 집합
차수(degree): 애트리뷰트의 수
카디널리티(cardinality): 튜플의 수
3. 릴레이션의 특징
① 튜플의 유일성(uniqueness of tuples): 릴레이션은 튜플의 집합이기 때문에 튜플의 중복을 허용하지 않는다.
② 튜플의 무순서성(no ordering of tuples): 한 릴레이션에 포함된 튜플 사이에는 순서가 없다.
③ 애트리뷰트의 무순서성(no ordering of attributes): 릴레이션 스키마는 애트리뷰트의 집합이기 때문에 애트리뷰트 사이에는 순서가 없다.
④ 애트리뷰트의 원자성(atomicity of attribute): 모든 애트리뷰트 값은 논리적으로 더 이상 분해할 수 없는 원자값을 가진다. (널 값(null value)도 원자 값으로 취급)
4. 관계 데이터베이스 개념
관계 데이터베이스 스키마(relation database schema): 릴레이션 스키마+무결성 제약 조건
관계 데이터 모델 <-> 프로그래밍 시스템
릴레이션 <-> 파일
튜플 <-> 레코드
애트리뷰트 <-> 필드
'cs > DB'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이터베이스/Datebase] 무결성 제약 조건 (0) | 2021.01.15 |
---|---|
[데이터베이스/Datebase] 키, 후보 키, 기본 키, 외래 키, 슈퍼 키, 대체 키 (0) | 2021.01.15 |
[데이터베이스/Database]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구성 연습문제 (0) | 2021.01.14 |
[데이터베이스/Database] 데이터베이스 관리자(DBA) 정의, 업무 (0) | 2021.01.14 |
[데이터베이스/Database] 데이터베이스의 사용자 (0) | 2021.0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