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리눅스/Linux] UID와 EUID/사용자 확인 명령(who, w, last, whoami, who am i, id, groups)
hrniin 2021. 2. 1. 16:10
UID와 EUID
UID(Real UID) : 사용자가 로그인할 때 사용한 계정의 UID
EUID(Effective UID) : 현재 명령을 수행하는 주체의 UID
UID와 EUID가 달라지는 경우(보통은 UID와 EUID가 같은 값을 가짐)
- su 명령을 사용하여 다른 계정으로 전환한 경우 : EUID가 다른 계정의 UID로 바뀐다.
- SetUID 비트가 설정된 실행 파일을 실행할 경우 : EUID가 실행 파일의 소유자로 바뀐다.
* 파일 소유자 = 파일을 만든 프로세스의 사용자 ID

접근 권한의 맨 앞자리는 특수 접근 권한을 의미. ↓
[리눅스/Linux] 특수 접근 권한(SetUID, SetGID, 스티키 비트)
(이 글은 대학생이 강의를 이해한 대로 정리한 것이므로 정확하지 않을 수 있음) umask 값을 출력하면 네 자리 숫자가 출력되는데, 그 중 맨 앞자리 숫자가 특수 접근 권한을 나타냄. 0 : 일반적인
thdbs523.tistory.com
사용자 확인 명령
- 사용자 로그인 정보 확인하기(who, w)
who : 사용자의 부가적인 정보(사용자명, 단말기 번호, 로그인 시간, 외부 네트워크 IP 주소)를 출력.
who -H : 각 항목의 제목을 함께 출력.
who -q : 로그인한 사용자의 수와 계정 이름 출력.
who -b : 시스템이 마지막으로 부팅한 날짜와 시간 정보를 출력.
who -r : 현재 런레벨 출력.
w : who 명령에서 출력된 것 외에 자세한 정보(활동 정보, CPU 사용량, 시스템 로드 정보)가 추가로 출력.
last : 로그인한 시간과 로그아웃한 시간 등을 출력.
- UID와 EUID 확인하기(whoami, who am i, id)
whoami : EUID 출력.
id : EUID 출력.
who am i : UID 출력.
who -m : UID 출력.
* 소속 그룹 확인하기 : groups 명령 (현재 사용자 계정이 속한 그룹을 출력)
'cs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Linux] 소유자와 소유 그룹 변경하기(chown, chgrp), passwd 명령 (0) | 2021.02.01 |
---|---|
[리눅스/Linux] root 권한 사용하기(su/sudo) (0) | 2021.02.01 |
[리눅스/Linux] 그룹 관리 명령 사용법 (groupadd, addgroup, groupmod, groupdel , gpasswd, newg (0) | 2021.01.29 |
[리눅스/Linux] 사용자 계정 관리 명령 사용법(useradd, adduser, usermod, userdel) (0) | 2021.01.29 |
[리눅스/Linux] 사용자 계정 관련 파일 (/etc/passwd, /etc/shadow, /etc/login.defs, /etc/group, (0) | 2021.0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