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업 예약하기 ① 정해진 시간에 한 번 실행하기(at) at 명령 설치: sudo apt install at 메일 설치: sudo apt install mailutils (at 명령의 결과를 파일에 저장 또는 메일로 보내므로) at 명령 설정 순서: - 시간 지정 ex) at 4pm + 3 days, at 10am Jul 31, at 1am tomorrow, at 10:00am today - 명령 지정 ex) /bin/ls -l ~user1 > ~user1/at.out - Ctrl + d로 종료 - 예약한 작업의 결과는 지정된 파일 at.out에 저장. at 작업 파일 확인하기: /var/spool/at 또는 /var/spool/cron/atjobs at 작업 목록 확인하기: at -l 또는 atq 명령..
포그라운드 작업 : 입력한 명령이 실행되어 결과가 출력될 때까지 (프롬프트가 뜨지 않아) 기다리는 방식으로 처리되는 프로세스를 포그라운드 프로세스라고 하며, 작업 제어에서는 이를 포그라운드 작업이라고 함. ex) sleep 100 : sleep 명령이 끝날 때까지 기다려야 함. 100초가 지나기 전까지 다른 명령을 실행할 수 없음. 백그라운드 작업 : 명령을 실행하면 명령의 처리가 끝나는 것과 관계없이 곧바로 프롬프트가 출력되어 사용자가 다른 작업을 계속할 수 있는 프로세스를 백그라운드 프로세스라고 하며, 작업 제어에서는 이를 백그라운드 작업이라고 함. 명령의 마지막에 & 기호를 추가하면 백그라운드로 실행이 가능. ex) sleep 100 & : 명령을 입력하자마자 프롬프트가 바로 나오기 때문에 다른 명..
프로세스 목록 보기(ps) ps : 현재 터미널에서 실행한 사용자 프로세스 목록 출력. PID, TTY, CPU 시간, 실행 중인 명령이 출력됨. ps -f : 프로세스의 상세 정보 출력. PPID, UID등의 정보가 추가. ps a : 터미널에서 실행한 프로세스의 정보 출력. ps au : 터미널에서 실행한 프로세스의 상세 정보 출력. ps -e : 시스템에서 실행 중인 모든 프로세스 출력. (다른 터미널도 포함) ps ex 명령과 동일. ps -u 사용자명 : 해당 사용자가 실행한 프로세스 목록 출력. ps -p PID : 해당 PID를 가진 프로세스의 정보 출력. 특정 프로세스 정보 검색하기(ps, pgrep) ps -ef | grep 명령 : 명령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프로세스 정보를 출력. pg..
프로세스 : 현재 시스템에서 실행 중인 프로그램. (프로세스 != 프로그램) 프로세스의 부모-자식 관계필요에 따라 부모 프로세스는 자식 프로세스를 생성하고, 자식 프로세스는 또 다른 자식 프로세스를 만들 수 있음. 부팅할 때 생성되는 프로세스인 systemd와 kthreadd 프로세스를 제외한 모든 프로세스는 부모 프로세스를 가지고 있음. 디자식 프로세스는 종료 시 부모 프로세스에게 종료 신호(SIGCHLD)를 보냄. 프로세스의 번호 PID(process indentification number): 각 프로세스가 가지는 고유한 번호. 즉, PID가 같으면 동일한 프로세스. 리눅스가 부팅될 때 생성되는 systemd와 kthreadd 프로세스는 각 PID 1번과 2번을 가짐. 프로세스 종류 - 데몬 프로세..
umask 값을 출력하면 네 자리 숫자가 출력되는데, 그 중 맨 앞자리 숫자가 특수 접근 권한을 나타냄. 0 : 일반적인 접근 권한4 : SetUID 2 : SetGIDa 1 : 스티키 비트(sticky bit) SetUID : SetUID가 설정된 파일을 실행하면 해당 파일이 실행되는 동안에는 파일을 실행한 사용자의 권한이 아니라 파일 소유자의 권한이 적용됨. SetUID가 설정되면 소유자의 실행 권한에 x가 아닌 s가 표시. 접근 권한의 맨 앞자리에 4를 설정해야 함. (chmod 4___ 파일명) ex) passwd 명령은 사용자 계정의 암호를 변경하는 명령. 이때 계정의 암호가 저장되어 있는 /etx/shadow 파일은 root 계정으로만 수정이 가능한데, passwd 명령에는 SetUID가 설정..
기본 접근 권한 : 파일이나 디렉터리를 생성할 때 자동으로 설정되는 접근 권한일반 파일의 기본 접근 권한 : rw-rw-r--디렉터리의 기본 접근 권한 : rwxrwxr-x 기본 접근 권한 확인하기 : umask (현재 설정된 기본 마스크 값을 출력) * 마스크 값: 파일이나 디렉터리 생성 시 부여하지 않을 권한을 지정해놓는 것. ex) 마스크 값이 002 일 때 기호 모드로는 -------w-. 이를 뒤집으면 rwxrwxr-x 이 됨. 즉, 775의 접근 권한을 부여하겠다는 뜻 기본 접근 권한 변경하기 : umask 마스크값일반 파일은 실행 권한을 가지지 않기 때문에 최대 접근 권한은 666. 즉, 마스크 값을 002으로 설정(umask 002)해도 접근 권한은 775가 아닌 664이 됨. (실행 파일..
접근 권한 표기 방법 ↓ [리눅스/Linux] 파일의 속성, 파일의 접근 권한 표기(이 글은 대학생이 강의를 이해한 대로 정리한 것이므로 정확하지 않을 수 있음) 파일의 속성 (ls -l 명령으로 확인할 수 있는 파일의 상세 정보) ① 파일의 종류 (-: 일반 파일, d: 디렉터리···) ②thdbs523.tistory.com 접근 권한 변경 파일 소유자와 시스템 관리자는 chmod 명령을 통해 접근 권한을 바꿀 수 있음. ① 기호 모드 - 사용자 카테고리 문자 u : 파일 소유자 (owner) g : 소유자가 속한 그룹 o : 소유자와 그룹 이외의 기타 사용자 a : 전체 사용자 (생략 가능) - 연산자 기호 + : 권한 부여 - : 권한 제거 = : 접근 권한 설정 - 접근 권한 문자 r : 읽기 권..
파일의 속성 (ls -l 명령으로 확인할 수 있는 파일의 상세 정보) ① 파일의 종류 (-: 일반 파일, d: 디렉터리···) ② 파일의 접근 권한 (ex: rw-r--r--) ③ 하드 링크의 개수 (ex: 1) ④ 파일 소유자의 로그인 ID (ex: root) ⑤ 파일 소유자의 그룹 이름 (ex: root) ⑥ 파일의 바이트 단위 크기 (ex: 223) ⑦ 파일이 마지막으로 수정된 날짜와 시간 (ex: 11월 8 23:13) ⑧ 파일명 (ex: /etc/hosts) 접근 권한 : 파일이 가지고 있는 속성 중 하나. 리눅스는 다중 사용자 시스템이므로 다른 사용자가 무단으로 접근하는 것을 방지하고 보호하기 위한 기능. 사용자는 자긴의 파일과 디렉터리 중 다른 사용자가 접근해도 되는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