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728x90
다중 프로그래밍 (multi-programming)
CPU의 이용률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고안된 기법으로써 운영체제 발전과정의 커다란 전환점이 되었다.
(운영체제가 다중 프로그래밍을 구현)
하나의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과정에서 입출력 요구가 발생하게 되면, 그 사건 처리가 완료될 때까지 CPU는 유휴 상태에서 기다리게 된다. 이 시간을 “CPU의 유휴 시간(idle time)”이라고 한다. (ex: C언어에서 printf(), scanf() 호출 시 CPU는 유후 상태가 됨)
CPU의 유휴 시간을 활용하기 위하여 여러 개의 프로그램들을 메모리에 적재시켜 놓고 한 프로그램에서 입출력 요구가 발생하면 다른 프로그램으로 CPU 사용을 전환함으로써 CPU의 이용률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컴퓨터 시스템에서 단위 시간당 처리되는 프로그램의 수, 즉 시스템의 처리율(throughput)이 향상될 수 있다.
(a) CPU 이용률 : 6/10(60%), 처리율 : 2/10(프로그램/초)
(b) CPU 이용률 : 6/6(100%), 처리율 : 2/6(프로그램/초)
728x90
'cs > operating system'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운영체제/OS] 프로세스 정의, 상태, 주소 영역, 문맥 교환, PCD, 생성/종료 (0) | 2021.03.26 |
---|---|
[운영체제/OS] 운영체제 진입점(Entry Points) (0) | 2021.03.14 |
[운영체제/OS] 운영체제 기능 (0) | 2021.03.14 |
[운영체제/OS] 컴퓨터 시스템의 동작원리(부팅 과정) (0) | 2021.03.14 |
[운영체제/OS] 운영체제 개요(의미/목적/구성 요소) (0) | 2021.03.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