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클립스나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와 같은 IDE에서 깃허브 로그인을 해야 할 때, 또는 로그인 후 깃허브 연동이 실패해 push가 되지 않을 때 깃허브 계정의 비밀번호 대신 생성한 Token을 넣어 로그인 해야한다. 오늘은 깃허브 내에서 Token을 생성하는 방법을 포스팅하려고 한다. 1. 깃허브 로그인 후 오른쪽 상단에 있는 프로필 사진 클릭-> Setting 클릭 2. 가장 아래로 내린 후 왼쪽 Developer settings 클릭 3. Personal access tokens-> Generate new token 4. 비밀번호 재입력 5. - Note: 토큰의 이름 - Expiration: 토큰의 유효기간 - Select Scopes: 토큰에 부여할 권한(보통 repo, admin:org, gist ..

1) 깃허브에서 remote repository 생성 이클립스와 연동시켜줄 저장소를 생성해줍니다. 2) 이클립스에서 Git Repositories 창 띄우기 이클립스 상단 메뉴에서 Window - Perspective - Open Perspective - Other... 를 눌러줍니다. Git을 선택해주고 Open을 눌러줍니다. 3) Clone 하기 1) 에서 만든 깃허브의 저장소 주소를 복사해줍니다. 2) 를 완료하셨다면 Git Repositories 창이 뜨실겁니다. 여기서 마우스 우클릭 - Clone a Git Repository... 를 선택 또는 그 위 Clone 아이콘을 클릭해주세요. 방금 복사한 저장소의 주소를 URI 칸에 붙여넣고 Next 버튼을 눌러주세요. 처음 연동하는 거라면 깃허브의 ..
clone(클론) : 깃허브 상에서 만든 remote repository를 컴퓨터 내에서 만든 local repository에 복제하여 두 개의 저장소를 연결시키는 과정. commit(커밋) : 사진을 찍듯이 파일의 "snapshot"을 저장하는 과정. commit을 했기 때문에 후에 프로젝트에 문제가 생겼을 때 해당 파일을 이전의 상태로 쉽게 복구할 수 있다. push(푸쉬) : 원격 저장소에 실질적으로 업로드 하는 과정. * 대학생이 이해한대로 정리한 글이므로 내용이 정확하지 않을 수 있음

1) 깃허브 저장소 만들기 깃허브 로그인 후 왼쪽 상단 Repositories 의 New 버튼을 클릭해주세요. 저장소 이름 지정 후 하단 Create repository 버튼을 클릭해서 저장소를 생성합니다. 이후에 git 명령을 실행하기 위해 저장소의 주소를 복사해둡시다. (드래그 한 부분) 2) 깃(Git) 설치하기 git-scm.com/downloads 로 들어가 자신의 컴퓨터 사양에 맞는 Git 설치해주세요. 설치 시 나오는 여러 옵션들은 기본적으로 선택된 옵션에서 아무것도 변경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3) 명령 프롬프트 실행 윈도우 검색 창에서 '명령 프롬프트' 또는 'cmd'를 검색하여 실행해줍시다. 4) git 명령 환경설정 git config --global user.name [깃허브 아이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