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728x90

양방향 통신 -> 오류 제어와 흐름 제어 기능을 모두 지원

- 송신 호스트는 정보 프레임(전송 데이터 + 순서 번호 + 오류 검출 코드)을 순서 번호에 따라 연속적으로 전송함
- 정보 프레임을 수신한 수신 호스트가 응답하는 순서 번호는 정상적으로 수신한 번호가 아닌 다음에 수신하기를 기대하는 번호를 회신하는 것이 일반적임

- 송신 윈도우(임시 저장 버퍼 수)는 전송은 되었지만 긍정 응답이 회신되지 않은 프레임을 재전송에 대비하여 보관. 송신 호스트가 관리.
- 수신 윈도우(임시 저장 버퍼 수)는 프로토콜의 동작 방식(고백-N 방식, 선택적 재전송 방식)에 따라 크기가 달라짐. 수신 호스트가 관리.

 

1) 흐름 제어
순서 번호(sequence number)

- 프레임 별로 부여되는 일련 번호
- 정지-대기 프로토콜에서는 순서 번호가 n=1임 (비연속형 전송)
- 0 부터 임의의 최대 값까지 순환 방식으로 사용
- 프레임에서 순서 번호의 공간 크기 = n 비트 : 순서 번호의 범위는 0 ~ 2^n - 1
- 일반적으로 순서 번호의 최대값이 송신 윈도우 크기보다 커야 함

윈도우 크기(window size)
- 송신 : 긍정 응답 프레임을 받지 않고 연속으로 전송할 수 있는 프레임의 최대 개수 => 송신 후 임시 저장용 버퍼 수
- 수신 : 수신한 프레임을 임시로 저장 가능한 버퍼 수

 

 

 

연속형 전송(pipelining)

- ACK 프레임을 받지 않은 상태에서도 여러 프레임을 연속으로 전송
-  오류 가능성이 적은 환경에서 효율적으로 사용

 

 

오류발생시 해결 방법
- 고백 N (Go-Back N) : 오류가 발생한 프레임 이후의 모든 프레임을 재전송
- 선택적 재전송(Selective Retransmission): 오류가 발생한 프레임만 재전송


ex)

윈도우 크기 = 8
10 번~17 번 프레임을 연속 전송
12 번 프레임 오류 발생

 

고백 N(Go-back N) 방식

: 오류난 정보 프레임 이후는 모두 버리는 형식이므로 수신 윈도우 크기는 1

 

 

선택적 재전송(Selective retransmission) 방식 
: 12번째 정보를 재수신하기 전까지는 다음 프레임의 긍정 응답은 보내지 않음
: 송신 윈도우 크기 = 수신윈도우 크기

 

 

728x90
250x250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more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