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728x90

 

 
 
 
1. 개념적 데이터 모델과 논리적 데이터 모델, 그리고 물리적 데이터모델 구조와의 관계를 설명하시오. 
 
현실 세계를 추상적 개념인 개체 타입과 관계 타입으로 표현한 것이 개념적 데이터 모델이다. 이 과정을 개념적 설계, 개념적 모델링이라 하고, 이로부터 얻은 결과를 개념적 구조라 한다. 이 개념적 구조로부터 논리적 개념, 레코드 타입으로 표현한 것이 논리적 데이터 모델이다. 이 변환 과정을 데이터 모델링이라 하고, 얻은 결과를 논리적 구조, 데이터 모델이라고 한다. 이 논리적 구조를 저장 장치의 데이터 표현 방식인 물리적 구조로 변환시킨 것이 물리적 데이터 구조이다. 이 과정을 물리적 설계, 데이터 구조화라고 한다.
 
 
2. 아래 용어를 간단히 설명하시오. 
 
(1) 개체 타입 : 이름과 애트리뷰트들로 정의된 개체의 속성
 
(2) 개체 인스턴스 : 개체의 애트리뷰트에 어떤 실제 값을 가지는 것
 
(3) 개체 집합 : 한 개체 타입에 대한 개체 인스턴스들의 집합
 
(4) 관계 타입 : 개체 집합들 사이의 대응 (mapping)
 
(5) 관계 집합 : 같은 유형의 관계들의 집합
 
(6) 널 어트리뷰트 : null value를 갖는 애트리뷰트
 
(7) 복합 어트리뷰트 : 몇 개의 단순 애트리뷰트로 분해할 수 있는 애트리뷰트
 
(8) 약한 개체 타입 : 자기자신의 애트리뷰트만으로는 키를 명세할 수 없는 개체 타입 (종속 개체)
 
(9) 존재 종속 : 어떤 개체 b의 존재가 개체 a의 존재에 종속된다면 b는 a에 존재 종속이라고 한다. (a는 주 개체, b는 종속 개체)
 
(10) 전체 참여 : A-B 관계에서 개체 집합 A의 모든 개체가 A-B 관계에 참여해야 한다면 A는 A-B 관계에서 전체 참여라고 한다.
 
(11) 부분키 : 강한 개체와 연관된 약한 개체 집합 내에서 개체를 서로 구별할 수 있는 애트리뷰트
 
(12) 구별자 : 부분 키와 같은 의미
 
(13) 식별 관계 타입 : 약한 개체와 강한 개체 사이의 관계 (=약한 개체를 강한 개체에 연관시켜 주는 관계)
 
 
3. 관계, 계층, 네트워크 데이터 모델의 차이점과 장단점을 설명하라.
 
관계 데이터 모델은 데이터베이스가 릴레이션, 즉 테이블의 집합으로 표현되고, 프로그램 개발이 빠르며 검색 속도가 비교적 느리다. 계층 데이터 모델은 데이터베이스가 tree 형태로 표현된다. 검색속도가 빠르고, 응용 프로그램을 수정하기 어렵다. 네트워크 데이터 모델은 데이터베이스가 스키마 다이어그램 즉 graph로 표현되고, 계층 데이터 모델에 비해 보기 편리하며 레코드 구조를 변경하기 어렵다. 1:n의 관계로만 표현할 수 있는 제한점을 가진다.
 

728x90
250x250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more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