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먼저 제 스펙은 < 지방4년제 컴공 수석졸업 / 중소SI 인턴 / 프로젝트 2번 / 정처기 / topcit level 3 > 입니다.
프로그래밍 직무에 합격했고, 세부 직무는 선택할 수 없었지만 자소서나 포트폴리오에 백엔드 위주로 작성했습니다.
면접까지 가게 된 건 처음이라 아쉬움이 많이 남지만
기록용으로, 그리고 더 부족한 점을 개선하기 위해 후기를 작성해봅니다!
1. 전형 절차
전형 절차는 서류 -> 코테 -> 직무면접 -> SKCT 였습니다.
서류만 내면 코테를 볼 수 있고, 서류 붙으면 면접결과에 상관없이 SKCT를 볼 수 있었기 때문에
사실상 서류/코테 -> 직무면접/SKCT 이렇게 두 차례로 채용이 되는 거네요.
대기업 계열사고 채용연계형인데도 생각보다 절차가 적더라구요. 오히려 좋아 ^^
2. 서류+코딩테스트
저는 서류에 자신이 없었고 그나마 코테를 열심히 공부했기 때문에.....
서류 합격 후에 코테 볼 수 있는 것 보다는, 서류 낸 사람들 모두 코테 볼 수 있는 게 무조건! 유리했어요!
프로젝트 경험이 많이 없어서, 서류만 보면 떨어질 것 같았거든요 ......
자소서는 글자수제한이 꽤 길었어요.
글자수제한을 어느정도 채우다가 지쳐버려서.. 기업 분석을 하고 기업에 대한 얘기를 하기보다는 개인적인 경험 위주로 적었습니다.
졸업 프로젝트, 인턴, 수석 졸업 등을 소재로 작성했습니다.
내가 "어떤 것을 했는지"에 대해 나열하기 보다, "어떤 시행착오를 겪고 어떤 걸 느꼈는지"를 상세히 적으려고 노력했습니다.
기업에 특정한 얘기가 아니라, 모든 기업에 해당되는 얘기를 써서 조금 아쉬웠던 ....
그리고 코테는 2시간 30분 동안 4문제였습니다.
어떤 문제인지는 공개할 수 없지만, 생각보다 많이 쉬웠어요. (백준 실버1~골드4 정도)
평소에 코테 꾸준히 공부해왔고 알고리즘 다 알고 있는 상태라면 어렵지 않게 풀 수 있을 정도입니다.
일단 4문제 모두 풀어서 제출하긴 했는데 히든테케에서 걸렸을 거라고 생각했고,
문제가 쉬운 만큼 올솔이어야 합격일 것 같아서 기대를 내려 놓았습니다 ㅠ
근데 의외로 합격이었어요!
운 좋게 히든테케까지 다 맞았던 건지 서류를 좋게 봐주신 건지......ㅎㅎ
카카오를 제외하고는 첫 코테였는데, 합격이라 기분이 좋았습니다..
3. 면접 준비
"직무"면접이라고 메일에 적혀있었어서, 인성 관련 질문보다는 자소서/포트폴리오/cs지식 위주로 공부했어요.
하지만 워낙 꼼꼼히 준비해야 마음이 편한 성격이라,
인성 질문들은 예상질문 따로 정리해서 키워드나 소재만 생각해두었고, 전날에만 직접 소리내서 답변해봤어요.
자소서/포트폴리오에 적었던 프로젝트는 아래 예상질문에 완벽하게! 대답할 수 있을 정도로 연습했습니다.
- 프로젝트 소개
- 본인의 역할
- 어떤 기술을 사용했는지
- 왜 이 기술을 사용했는지
- 기술에 대한 특징
- 프로젝트를 통해 배운 것
-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어려웠던 것/아쉬웠던 것
위 예상질문에 대한 답변을 작성하면서, 나올 것 같은 꼬리질문들도 정리/연습했습니다.
그리고 자소서/포트폴리오에 작성한 기술적인 부분들을 더 깊게 공부했어요.
cs지식은 아래 두가지 링크를 바탕으로, 핵심적인 개념들만 제 방식대로 따로 정리했어요.
https://github.com/JaeYeopHan/Interview_Question_for_Beginner
https://dev-coco.tistory.com/153
정리해둔 자료들을 키워드만 봤을 때 대답이 술술 나올 정도로 연습했습니다.
그리고 저는 포트폴리오에 안드로이드와 백엔드 둘다 있었기 때문에 (이도저도 아닌 포트폴리오..;;;)
안드로이드, 웹에 대한 개념 둘다 정리했습니다.
기업분석은 지금 sk플래닛에서 하고 있는 사업,
sk플래닛 서비스를 사용해봤는지, 개선방안 등에 대한 답변을 준비했습니다.
추가적으로 인재상 중 나와 가장 잘 맞을 것 같은 인재상을 외워갔어요.
이 부분을 중점적으로 질문하실 것 같지도 않고, 너무 어려워서 간단하게만 준비했어요 ㅎ
자기소개/지원동기/마지막으로 할 말은
기계마냥 술술 대답할 수 있도록 연습했어요. (but... 면접 때 버벅거림;)
3. 면접
구글미트로 면접관 2 : 지원자 1 이었고,
메일에 안내된 시간은 30분이었는데 저는 25분 정도 진행했습니다.
제가 개발 직무의 첫 순서인 것 같아서 (추측이지만) 너무너무 떨렸어요...........!!!
처음 들어가자마자 자기소개 말씀드렸고, 지원동기는 안 물어보시더라구요.
면접 분위기는 그렇게 딱딱하지 않았어요.
질문에 대한 답변을 하고 있을 때, 고개를 끄덕이시기도 하고
제 이야기를 집중해서 듣고 있다는 느낌이 들어서 긴장도 조금 풀어졌습니다.
인성 or 기타
- 협업할 때 갈등이 생기면 어떻게 해결할 것인지 (상세한 예시 두개 들어주심)
- 어떤 개발자가 되고 싶은지
- 취업준비를 하면서 가장 큰 장애물은 어떤 것이고, 이를 어떻게 해결해나갈 것인지
→ 프로젝트 경험이 적은 것이라고 대답한듯 - 학점이 높은데, 어떤 식으로 학점관리를 했는지
- 다른 직무에 배치되면 어떻게 할건지 (이건 내가 여러 분야의 프로젝트 경험이 있어서 질문하신듯)
- 코딩테스트 어떤 식으로 준비했는지
cs지식
- RESTful에서 사용하는 메소드
→ post/get/petch/delete/put 각각 어떤 경우에 사용하는지 설명. post/get은 좀 자세히 대답함 - REST와 RESTful의 차이점
- Spring framework의 특징 두세개 정도
→ 관점 지향 프로그래밍, 제어의 역전, 의존성 주입, 경량 컨테이너 이렇게 네개 말하고 각각 간단하게 설명한듯. - Spring의 관점 지향 프로그래밍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
- 디자인 패턴에 아는 게 있는지/있다면 아는 것에 대해 설명
→ mvc, 옵저버 패턴에 대해 설명함 - List / Set / Map 자료구조가 어떤 것인지, 그중 검색속도가 빠른 자료구조는 무엇인지
→ 자료구조 각각은 잘 설명함. 근데 Set, Map이 가장 빠르다고 대답하고, 머리가 하얘져서 그에 대한 상세한 이유를 못 말했다.. 이걸 못 말하네..
Spring의 관점 지향 프로그래밍에 대한 질문만 잘 모르겠다고 대답하고.. 다른 건 잘 대답한 것 같아요.
워낙 질문이 쉬웠기도 했고 이미 알고 있는 개념이라 ㅎㅎ
자소서/포폴
- 가장 자신있거나 열중했던 프로젝트에 대해 설명
- 인턴 때 참여한 프로젝트에 대해 설명하고, 역할을 설명
- 인턴 때 참여한 프로젝트에서 몇명과 협업을 했는지, 각각의 역할이 뭔지
- 자소서에 자바 언어 수준을 '중'이라고 작성했는데, 어떻게 하면 '상'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하는지
→ 아직 대규모 트래픽, 멀티 스레드 개발을 안해봐서, 이를 경험해보면 상이 될 수 있을 것 같다 어쩌구
마지막으로 질문
위 질문 외에도, 자소서 관련해서 가벼운 질문들을 여러개 하셨어요.
자소서나 포트폴리오에 대해서는 생각보다 기술적인 질문이 적었고.
포트폴리오 보다는 자소서를 보고 질문하시는 느낌입니다.
생각보다 가벼운 질문만 하셔서 당황했는데, 나한테 관심이 없으셔서 그런 건가 싶기도 하고..
막 그렇게 망친 건 아닌데 그렇다고 잘 보지도 않아서 애매했어요.
그리고 너무 긴장을 하는 바람에 대답을 너무 단답식으로만 해서, 정적이 길어진 것 같아 아쉬웠습니다.
(예를 들어 대답을 '~~~입니다. ~~는 ~~~이기 때문입니다.'라고 해야 할 경우에 '~~~입니다.'라고만 하고 마무리함..)
아니면 원래 면접이라는 게 이런 건지... ㅎㅎ 면접은 아예 처음이다보니 어떤 분위기가 좋은 건지도 파악이 힘들었어요.
그래도 면까몰이라고 ^^ 약간은 기대를 하며 결과를 기다렸습니다.
4. SKCT
프로그래밍 직무는 코딩테스트를 봤기 때문에, 적성검사 없이 인성검사만 진행했습니다.
그래서 따로 준비한 건 없이 편한 마음으로 봤어요.
처음에는 SK플래닛 인재상에 맞게 체크할까 생각을 했는데, 시간이 부족할 것 같고 솔직하게 답하는 것이 맞다고 생각해서 제 성향대로 답했습니다.
한 문항을 12초? 안에 읽고 체크까지 해야했어서 조금이라도 집중력이 흐트러지면 안 될 것 같더라구요.
일관성 있게, 솔직하게 답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것 같아요.
자신을 너무 정직하게 바라보면서 인성검사에 답을 하면, SKCT 프로그램 내에서 경고창을 띄워줍니다..ㅎㅎ
(나도 알고 싶지 않았음)
4. 결과
믿기지 않는 결과 ..
아직 서류를 넣기 시작한지 얼마 안되어서, 경험을 쌓는다는 생각으로 마음을 편하게 먹으려고 했는데 합격이라니!
정말 열심히 하기도 했지만 운도 좋았고.. 학점이 거의 만점에 가까웠는데 그 부분을 좋게 봐주신 것 같습니다.
정규직까지 가면 너무 좋겠지만, 혹시나 채용이 안 되고 다시 취준을 하게 되더라도 심적으로 많이 힘들 것 같지는 않겠다는 느낌이 듭니다.
어쨌든 졸업하자마자 정말 좋은 기회를 얻게되었으니 최대한 많은 것을 배우자는 것이 제 목표입니다.
아자아자 인턴생활!
'etc > 면접'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면접 준비 - 안드로이드 (0) | 2023.03.12 |
---|---|
면접 준비 - 데이터베이스 (0) | 2023.03.11 |
면접 준비 - 스프링, 기타 (0) | 2023.03.11 |
면접 준비 - 네트워크 (0) | 2023.03.11 |
면접 준비 - 운영체제 (0) | 2023.03.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