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728x90


 
 
1. 데이터 종속성을 설명하고, 그 문제점과 해결책을 설명하시오. 
 
응용 프로그램과 데이터 간의 상호 의존 관계를 말한다. 즉 데이터의 구성 방법이나 접근 방법을 변경할 때는 응용 프로그램도 같이 변경 시켜야 하는데, 현실적으로 응용 프로그램 관리가 어렵고 유지보수의 비용이 증가한다. 이는 파일 시스템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으로, 파일 시스템 대신 DBMS를 사용한다면 DBMS의 데이터 독립성으로 인해 해결할 수 있다.
 
 
2. DBMS의 필수 기능을 설명하시오. 
 
정의 기능, 조작 기능, 제어 기능이 필수적으로 구비되어야 한다. 정의 기능은 하나의 물리적 구조의 데이터베이스로 여러 응용 프로그램들의 요구를 지원해 줄 수 있도록 데이터를 조작하는 기능이다. 논리적 구조와 물리적 구조를 명세해야 하며, 논리적 구조와 물리적 구조 사이의 사상(mapping)을 명세해야 한다. 조작 기능은 사용자 또는 응용 프로그램과 데이터베이스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으로, 체계적으로 데이터베이스를 접근하고 조작(검색, 갱신, 삽입, 삭제)하는 기능이다. 데이터 언어를 통해 표현될 수 있다. 제어 기능은 데이터의 정확성과 보안성, 일관성을 유지하는 기능으로, 무결성 유지, 권한 검사와 보안 유지, 병행 제어(동시성)의 기능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3. 데이터 독립성을 설명하시오. 
 
DBMS가 추구하는 궁극적인 목적은 데이터 독립성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 데이터 독립성은 file system의 데이터 종속성과 중복성을 해결할 수 있다. 데이터 독립성은 논리적 데이터 독립성과 물리적 데이터 독립성으로 나눌 수 있는데, 논리적 데이터 독립성은 응용 프로그램에 영향을 최소화하고 논리적 데이터 구조의 변경이 가능한 것을 말한다. 이를 통해 응용 프로그램의 효율적 개발이 가능하다. 물리적 데이터 독립성은 응용 프로그램과 논리적 데이터 구조에 영향을 주지 않고 물리적 데이터 구조의 변경이 가능한 것을 말한다. 데이터 독립성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사상(mapping) 능력이 있어야 가능하다. 이를 통해 저장 장치의 효율적 개발이 가능하다.
 

728x90
250x250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more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