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리눅스/Linux] 마운트, 마운트 포인트, 마운트 설정 파일(/etc/fstab), 마운트 관련 명령(mount, umount)
hrniin 2021. 1. 26. 16:20
마운트 : 파일 시스템을 디렉터리 계층 구조의 특정 디렉터리와 연결하는 것. (파일 시스템이 디렉터리 계층 구조와 연결되지 않으면 사용자가 해당 파일 시스템에 접근할 수 없음)

마운트 포인트 : 디렉터리 계층 구조에서 파일 시스템이 연결되는 디렉터리. 위 그림에서는 /usr, /home 디렉터리가 마운트 포인트가 됨.
파일 시스템 마운트 설정 파일(/etc/fstab)
시스템이 부팅될 때 자동으로 파일 시스템이 마운트되게 하려면 /etc/fstab 파일에 설정해야 함.
/etc/fstab 파일의 기능 : 파일 시스템의 마운트 설정 정보를 가지고 있음. 리눅스 시스템이 부팅할 때 이 파일의 설정 내용에 따라 파일 시스템으로 자동으로 마운트.
/etc/fstab 파일의 구조 :
장치명 마운트 포인트 파일 시스템의 종류 옵션 덤프 관련 설정 파일 점검 옵션
ex) UUID=7009cb18-dbd5-4ffc-af86-599cee765454 / ext4 errors=remount-to 0 1
마운트 관련 명령(mount, umount)
mount : 현재 마운트되어 있는 정보 출력. /etc/fstab 파일의 내용과 동일.
mount 장치명 마운트 포인트 : 장치를 해당 디렉터리에 연결.

umount 마운트 포인트 : 해당 디렉터리의 연결을 해제(언마운트)
[리눅스/Linux] 리눅스에 장치 연결하기(마운트)
(이 글은 대학생이 강의를 이해한 대로 정리한 것이므로 정확하지 않을 수 있음) [리눅스/Linux] 마운트, 마운트 포인트, 마운트 설정 파일(/etc/fstab), 마운트 관련 명령(mount, umount) (이 글은 대학생
thdbs523.tistory.com
'cs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Linux] 디스크 사용량 확인(df, du), 파일 시스템 검사/복구(fsck, e2fsck, badblocks, dumpe2fs) (0) | 2021.01.26 |
---|---|
[리눅스/Linux] 리눅스에 장치 연결하기(마운트) (0) | 2021.01.26 |
[리눅스/Linux] 파일 시스템 개념/종류/구조, inode 구조, 디렉터리 계층 구조 (0) | 2021.01.26 |
[리눅스/Linux] 명령 예약하기/작업 예약하기 (at, crontab) (0) | 2021.01.25 |
[리눅스/Linux] 포그라운드, 백그라운드 작업 제어 (fg, bg, jobs, nohup) (0) | 2021.0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