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데몬(daemon):
리눅스의 백그라운드에서 동작하면서 특정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세스. 리눅스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웹 서버, 데이터베이스 서버 등 각종 서비스를 제공.
데몬의 동작 방식
- 독자형(standalone):
시스템의 백그라운드에서 서비스별로 항상 동작.
자주 호출되는 데몬이 아니라면 시스템의 자원을 낭비할 우려가 있다.
- 슈퍼 데몬에 의한 동작 방식:
평소에는 슈퍼 데몬만 동작하다가 서비스 요청이 오면 슈퍼 데몬이 해당 데몬을 동작 시킨다.
독자형보다는 서비스에 응답하는 데 시간이 약간 더 걸릴 수 있지만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한다는 장점.
슈퍼데몬
유닉스에서 슈퍼데몬의 이름은 inetd였으나, 우분투에서는 보안 기능이 포함된 xinetd를 사용.
사용자가 네트워크 서비스를 요청하면 슈퍼데몬이 이를 받아서 해당 서비스 데몬을 동작시킨다.
데몬의 조상
- systemd 데몬 (PID:1)
대부분의 프로세스의 조상 프로세스.
pstree 명령으로 프로세스의 실행 구조 확인 가능.
- 커널 스레드 데몬 (PID:2)
커널 데몬을 동작시키는 조상 데몬. 즉, 모든 커널 데몬의 PPID가 2번.
* 커널 데몬: 커널의 일부분을 프로세스처럼 관리하는 데몬.
ps 명령으로 확인했을 때 대괄호([ ])로 둘러싸여 있는 프로세스들.
예전에는 대부분 k로 시작했으나 요즘은 이를 반드시 준수하지는 않음.
커널 데몬은 대부분 입출력이나 메모리 관리, 디스크 동기화 등을 수행하며 대체로 PID가 낮은 번호로 할당.
주요 데몬

'cs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Linux] 우분투 패키지 개념/특징/카테고리/이름 구성/패키지 저장소 (0) | 2021.01.28 |
---|---|
[리눅스/Linux] 부트 로더 (LILO, GRUB, 암호 복구, 복구 모드) (0) | 2021.01.27 |
[리눅스/Linux] 리눅스 시스템 종료 방법 (0) | 2021.01.27 |
[리눅스/Linux] init 프로세스, 런레벨 개념/변경, systemd 개념/명령(systemctl, telinit, init) (0) | 2021.01.27 |
[리눅스/Linux] 리눅스의 부팅 과정 (0) | 2021.0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