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mask 값을 출력하면 네 자리 숫자가 출력되는데, 그 중 맨 앞자리 숫자가 특수 접근 권한을 나타냄. 0 : 일반적인 접근 권한4 : SetUID 2 : SetGIDa 1 : 스티키 비트(sticky bit) SetUID : SetUID가 설정된 파일을 실행하면 해당 파일이 실행되는 동안에는 파일을 실행한 사용자의 권한이 아니라 파일 소유자의 권한이 적용됨. SetUID가 설정되면 소유자의 실행 권한에 x가 아닌 s가 표시. 접근 권한의 맨 앞자리에 4를 설정해야 함. (chmod 4___ 파일명) ex) passwd 명령은 사용자 계정의 암호를 변경하는 명령. 이때 계정의 암호가 저장되어 있는 /etx/shadow 파일은 root 계정으로만 수정이 가능한데, passwd 명령에는 SetUID가 설정..

기본 접근 권한 : 파일이나 디렉터리를 생성할 때 자동으로 설정되는 접근 권한일반 파일의 기본 접근 권한 : rw-rw-r--디렉터리의 기본 접근 권한 : rwxrwxr-x 기본 접근 권한 확인하기 : umask (현재 설정된 기본 마스크 값을 출력) * 마스크 값: 파일이나 디렉터리 생성 시 부여하지 않을 권한을 지정해놓는 것. ex) 마스크 값이 002 일 때 기호 모드로는 -------w-. 이를 뒤집으면 rwxrwxr-x 이 됨. 즉, 775의 접근 권한을 부여하겠다는 뜻 기본 접근 권한 변경하기 : umask 마스크값일반 파일은 실행 권한을 가지지 않기 때문에 최대 접근 권한은 666. 즉, 마스크 값을 002으로 설정(umask 002)해도 접근 권한은 775가 아닌 664이 됨. (실행 파일..

접근 권한 표기 방법 ↓ [리눅스/Linux] 파일의 속성, 파일의 접근 권한 표기(이 글은 대학생이 강의를 이해한 대로 정리한 것이므로 정확하지 않을 수 있음) 파일의 속성 (ls -l 명령으로 확인할 수 있는 파일의 상세 정보) ① 파일의 종류 (-: 일반 파일, d: 디렉터리···) ②thdbs523.tistory.com 접근 권한 변경 파일 소유자와 시스템 관리자는 chmod 명령을 통해 접근 권한을 바꿀 수 있음. ① 기호 모드 - 사용자 카테고리 문자 u : 파일 소유자 (owner) g : 소유자가 속한 그룹 o : 소유자와 그룹 이외의 기타 사용자 a : 전체 사용자 (생략 가능) - 연산자 기호 + : 권한 부여 - : 권한 제거 = : 접근 권한 설정 - 접근 권한 문자 r : 읽기 권..

파일의 속성 (ls -l 명령으로 확인할 수 있는 파일의 상세 정보) ① 파일의 종류 (-: 일반 파일, d: 디렉터리···) ② 파일의 접근 권한 (ex: rw-r--r--) ③ 하드 링크의 개수 (ex: 1) ④ 파일 소유자의 로그인 ID (ex: root) ⑤ 파일 소유자의 그룹 이름 (ex: root) ⑥ 파일의 바이트 단위 크기 (ex: 223) ⑦ 파일이 마지막으로 수정된 날짜와 시간 (ex: 11월 8 23:13) ⑧ 파일명 (ex: /etc/hosts) 접근 권한 : 파일이 가지고 있는 속성 중 하나. 리눅스는 다중 사용자 시스템이므로 다른 사용자가 무단으로 접근하는 것을 방지하고 보호하기 위한 기능. 사용자는 자긴의 파일과 디렉터리 중 다른 사용자가 접근해도 되는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을 ..

환경 변수 PS1 - 프롬프트로 사용될 문자열이 저장되어 있음. echo $PS1을 통해 내용을 확인하면, \e, \u, \h, \w 등 \로 시작하는 문자로 구성. 이 \로 시장하는 특별한 문자를 이스케이프 문자라고 함. 셸이 이스케이프 문자의 의미를 해석하여 실행. 즉, 프롬프트를 바꾸기 위해서는 환경 변수 PS1의 값을 변경하면 됨. 프롬프트 변경하기 ex) PS1='LINUX ] ' PS1='[$PWD] ' (PWD는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변수) PS1='`uname -n` $ ' (uname -n 명령은 호스트 이름을 출력하는 명령) PS1='[\u \T] \!$ ' (순서대로 사용자, 현재시간, 현재 명령의 히스토리 번호를 나타내는 이스케이프 문자) 컬러 프롬프트 설정하기 PS1= '\[\e[..
에일리어스 : 기존의 명령을 대신하여 다른 이름(별칭)을 붙일 수 있도록 하는 기능. 긴 명령 대신 짧은 명령을 사용할 수 있고, 여러 명령을 하나의 명령으로 만들 수 있으며, 자주 사용하는 옵션을 포함하여 새로운 이름을 붙일 수 있음. alias - 현재 설정되어 있는 에일리어스 출력 alias 이름=' 명령' - 명령에 해당 이름을 붙임. (에일리어스 생성) alias 이름=' 명령1;명령2;···;' - 여러 명령을 하나의 이름으로 사용. * '=' 좌우로 공백이 있으면 안됨. ex) alias ls=' ls -F' 으로 에일리어스 설정 후 ls를 실행하면 자동으로 -F 옵션이 적용. 에일리어스 삭제 - unalias 에일리어스명 히스토리 : 임시 버퍼에 저장된 작업한 명령들을 다시 불러와서 사용하..
셸 변수: 현재 셸에서만 사용 가능. 서브 셸로 전달되지 않음. (지역 변수) 환경 변수: 현재 셸과 서브 셸에서 사용 가능. (전역 변수) 변수 출력하기 set: 셸 변수와 환경 변수 모두 출력 env: 환경 변수만 출력 echo $변수명: 해당 변수의 값을 출력 변수 정의하기/설정하기 - 셸 변수 : 변수명=문자열 ('=' 앞뒤로 공백이 있으면 안됨) ex) SOME=test 실행 후 echo $SOME 의 결과는 test - 환경 변수 : export [옵션] [셸 변수] (셸 변수를 먼저 설정 후 export 명령을 통해 환경 변수로 변경) ex) export SOME export SOME=test(셸 변수를 설정하면서 동시에 환경 변수로 전환하는 방법) export -n SOME (-n 옵션은 ..
표준 입력 장치: 셸이 작업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받아들이는 장치. (키보드) 표준 출력 장치: 셸이 실행 결과를 내보내는 장치. (모니터) 표준 오류 장치: 셸이 오류 메세지를 내보내는 장치. (모니터) 파일 디스크립터(파일에 일련번호를 붙여서 관리하는 방식) 명령의 표준 입력 - 0 명령의 표준 출력 - 1 명령의 표준 오류 - 2 - 출력 리다이렉션(출력의 방향을 바꿈) ① 명령 > 파일명 : 해당 파일이 존재하지 않으면 새 파일을 생성해 명령의 결과를 저장. 해당 파일이 있으면 기존 파일의 내용을 삭제하고 새로 결과를 저장. '>' 대신 '1>'을 사용할 수 있는데, 여기서 1은 파일 디스크립터를 의미. ex) ls -al > out1 을 하면 ls -al의 실행 결과가 화면에 출력되지 않..