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분투 패키지 설치 방법 - APT 명령을 사용 : 인터넷이 연결된 저장소에서 설치. - dpkg 명령을 사용 : 패키지 단위로 설치. - aptitude 명령을 사용 : 비주얼 모드에서 동작 - 우분투 소프트웨어 센터를 이용 : 그놈 소프트웨어 센터 2) dpkg 명령으로 패키지 관리하기 (패키지를 다운로드하여 패키지 단위로 설치) * dpkg 명령은 패키지별로 설치하기 때문에 의존성을 고려하여 수동적으로 설치해야 함. dpkg -l : 설치되어 있는 패키지 목력 출력. dpkg -s 패키지명 : 패키지의 상세 정보 출력. dpkg -S 파일명 : 해당 파일이 포함된 패키지 검색. dpkg -L 패키지명 : 패키지가 설치한 파일의 목록 출력. dpkg -c .deb 파일명 : .deb 파일이 가지고 있..
우분투 패키지 설치 방법 - APT 명령을 사용 : 인터넷이 연결된 저장소에서 설치. - dpkg 명령을 사용 : 패키지 단위로 설치. - aptitude 명령을 사용 : 비주얼 모드에서 동작 - 우분투 소프트웨어 센터를 이용 : 그놈 소프트웨어 센터 1) APT 명령으로 패키지 관리하기 (인터넷이 연결된 저장소에서 다운로드하여 자동으로 설치) apt-cache stats : APT 캐시에 대한 전반적인 통계 정보 출력. apt-cache pkgnames : 사용 가능한 패키지 이름 출력. apt-cache search 패키지명 : 해당 패키지의 목록과 간단한 설명을 출력. apt-cache show 패키지명 : 버전, 패키지 크기, 카테고리, 체크섬 등 페키지에 관한 정보 출력. apt-cache sh..
리눅스에서 소프트웨어는 소스 코드 또는 바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패키지 형태로 배포된다. 소스 코드로 배포하는 경우 대부분 하나의 아카이브 파일로 묶은 후 압축하여 배포한다. 패키지로 배포되는 경우 리눅스에서 주로 사용하는 형식인 RPM, deb이 있다. RPM(Redhat Package Manager): 레드햇 계열 리눅스(페도라)에서 주로 사용 deb: 데비안, 우분투 계열에서 사용하는 패키지 스냅: 기존 패키지 형식의 의존성 문제를 해결. 우분투 16.04 부터 도입 우분투 패키지의 특징 - 바이너리 파일로 구성되어 있어 컴파일이 필요 없다. - 패키지의 파일이 관련 디렉터리에 바로 설치된다. - 패키지를 삭제할 때 관련된 파일을 일괄적으로 삭제할 수 있다. - 기존에 설치한 패키지를 삭제하지..
부트 로더는 커널을 메모리에 로딩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리눅스 부트 로더로는 LILO, GRUB이 있는데, 우분투에서는 GRUB를 기본으로 지원한다. GRUB 리눅스의 전통적인 부트 로더인 LILO의 단점을 보완하여 GNU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개발. * GRUB 장점 LILO는 리눅스에서만 사용이 가능하지만 GRUB는 윈도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LILO에 비해 설정과 사용이 편리하다. 부팅 시에 명령을 사용하여 수정이 가능하다. 멀티 부팅 기능을 지원한다. GRUB의 가장 최신 버전은 GRUB2로 우분투에서 기본 부트 로더로 사용하고 있다. GRUB2 관련 디렉토리와 파일 ① /boot/grub2/grub.cfg 파일: 기존의 menu.lst 파일을 대체하는 기본 설정 파일. 이 파일을 수정하려면 /e..

데몬(daemon): 리눅스의 백그라운드에서 동작하면서 특정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세스. 리눅스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웹 서버, 데이터베이스 서버 등 각종 서비스를 제공. 데몬의 동작 방식 - 독자형(standalone): 시스템의 백그라운드에서 서비스별로 항상 동작. 자주 호출되는 데몬이 아니라면 시스템의 자원을 낭비할 우려가 있다. - 슈퍼 데몬에 의한 동작 방식: 평소에는 슈퍼 데몬만 동작하다가 서비스 요청이 오면 슈퍼 데몬이 해당 데몬을 동작 시킨다. 독자형보다는 서비스에 응답하는 데 시간이 약간 더 걸릴 수 있지만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한다는 장점. 슈퍼데몬 유닉스에서 슈퍼데몬의 이름은 inetd였으나, 우분투에서는 보안 기능이 포함된 xinetd를 사용. 사용자가 네트워크 서비스를 요청하면 슈..
① shutdown 명령 사용하기 shutdown -h now : 시스템 즉시 종료. shutdown -h +2 "System is going down in 2 min." : 해당 메세지 보내고 2분 후에 종료. shutdown -r +3 : 3분 후에 시스템 재시작. shutdown -c : shutdown 명령 취소. shutdown -k 2 : 2분 후 종료된다는 메세지만 보내고 실제로 종료하지 않음. ② 런레벨 변경하여 종료하기 [리눅스/Linux] init 프로세스, 런레벨 개념/변경, systemd 개념/명령(systemctl, telinit, init)(이 글은 대학생이 강의를 이해한 대로 정리한 것이므로 정확하지 않을 수 있음) systemd는 리눅스의 시스템과 서비스 관리자로서, 유닉스의..

systemd는 리눅스의 시스템과 서비스 관리자로서, 유닉스의 init 프로세스가 하던 작업을 대신 수행한다. init 프로세스 스크립트(설정 파일)를 순차적으로 실행하여 다른 프로세스를 동작시켰다. man init로 확인해보면 systemd에 대한 설명이 출력된다. init가 systemd로 대체된 것이다. systemd 이전에 init 대신 사용해온 upstart와 관련된 스크립트 파일은 /etc/init 디렉터리에 '작업명.conf' 파일로 구성되어 있다. (현재는 몇 개의 스크립트만 남아있음) init과 관련된 스크립트 파일은 /etc/init.d 디렉터리에 있으며 아직 일부 서비스의 스크립트 파일이 남아 있다. init와 런레벨init 프로세스에서 시스템의 단계를 일곱 개로 구분하고 각 단계에 ..

전원 ON -> 바이오스 단계 -> 부트 로더 단계 -> 커널 초기화 단계 -> systemd 서비스 단계 -> 로그인 프롬프트 출력 ┗━━━━PC 부팅━━━━┛┗━━━━━━━━━━━━━━━━리눅스 부팅━━━━━━━━━━━━━━━━┛ 1. 바이오스 단계바이오스는 PC에 장착된 기본적인 하드웨어(키보드, 디스크 등)의 상태를 확인한 후 부팅 장치를 선책하여 부팅 디스크의 첫 섹터에서 512B인 로딩한다. 이 512B를 마스터 부트 레코드라고 하며, 어느 파티션에 2차 부팅 프로그램(부트 로더)이 있는지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2. 부트 로더 단계 바이오스 단계에서 MBR는 부트 로더를 찾아 메모리에 로딩하며, 부트 로더는 여러 운영체제 중에서 부팅할 운영체제를 선택할 수 있도록 메뉴를 제공한다. 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