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우분투 패키지 설치 방법
- APT 명령을 사용 : 인터넷이 연결된 저장소에서 설치.
- dpkg 명령을 사용 : 패키지 단위로 설치.
- aptitude 명령을 사용 : 비주얼 모드에서 동작
- 우분투 소프트웨어 센터를 이용 : 그놈 소프트웨어 센터
1) APT 명령으로 패키지 관리하기 (인터넷이 연결된 저장소에서 다운로드하여 자동으로 설치)
apt-cache stats : APT 캐시에 대한 전반적인 통계 정보 출력.
apt-cache pkgnames : 사용 가능한 패키지 이름 출력.
apt-cache search 패키지명 : 해당 패키지의 목록과 간단한 설명을 출력.
apt-cache show 패키지명 : 버전, 패키지 크기, 카테고리, 체크섬 등 페키지에 관한 정보 출력.
apt-cache showpkg 패키지명 : 패키지의 설치 여부와 관계없이 패키지의 의존성에 대한 정보 출력.
apt-get update : 패키지 정보 업데이트. (/etc/apt/source.list에 명시한 저장소로부터 패키지 정보를 읽어 동기화. 즉, 새로운 패키지 정보를 가져와 APT 캐시를 수정.)
apt-get upgrade : 현재 설치되어 있는 패키지 중 새로운 버전이 있는 패키지를 모두 업그레이드.
apt-get install 패키지명 : 하나 이상의 패키지를 설치하거나 업그레이드. (여러 개를 한 번에 설치하려면 패키지명 나열)
apt-get remove 패키지명 : 해당 패키지 삭제. (실행 파일만 삭제되고 설정 파일은 삭제되지 않음)
apt-get purge 패키지명 : 설정 파일을 포함하여 패키지 삭제.
apt-get autoremove : 더 이상 필요가 없는 패키지를 자동으로 삭제.
apt-get clean : 내려받은 패키지 파일을 삭제하고 디스크 공간을 정리.
apt-get download 패키지명 : 패키지를 설치하지 않고 내려받기만 함.
apt-get source 패키지명 : 패키지의 소스 코드(컴파일 필요)를 내려받고 압축을 풂.
(옵션 --download-only: 소스 코드를 내려받기만 함. --compile: 소스 코드를 내려받아 압축을 풀고 컴파일.)
* apt-get 명령은 의존성이 있는 패키지들을 자동으로 설치해주기 때문에 의존성을 고려하지 않아도 됨.
dpkg 명령으로 패키지 설치 ↓
'cs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Linux] 우분투 패키지 설치 방법 ③ aptitude 명령 ④ 우분투 소프트웨어 센터 (0) | 2021.01.28 |
---|---|
[리눅스/Linux] 우분투 패키지 설치 방법 ② dpkg 명령 (0) | 2021.01.28 |
[리눅스/Linux] 우분투 패키지 개념/특징/카테고리/이름 구성/패키지 저장소 (0) | 2021.01.28 |
[리눅스/Linux] 부트 로더 (LILO, GRUB, 암호 복구, 복구 모드) (0) | 2021.01.27 |
[리눅스/Linux] 데몬 프로세스 (데몬의 동작 방식/슈퍼데몬/데몬의 조상) (0) | 2021.0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