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MA/CD - 둘 이상의 호스트에서 채널이 동시에 유휴 상태라고 판단 - 이런 경우 프레임 전송 과정에서 충돌이 발생 - 따라서 충돌 감지 기능이 필수적으로 요구됨 - 충돌이 감지되면 진행중인 프레임의 전송을 중지 고전적인 이더넷 연결 방식 - 트랜시버: 데이터 송수신 장치이며, 신호 감지/충돌 감지 기능을 수행 - 리피터: 두 케이블을 연결하는 장치로 신호 증폭 기능을 수행 - IEEE 802.3은 신호감쇄에 따른 오류 가능성 때문에 전송 케이블의 최대길이를 제한(100m)
CSMA/CD 방식에서 채널이 사용 중인지 검사하는 방법 - 절대적 지속성(1-persistent) - 비지속성(nonpersistent) - 확률적(p-persistent) 절대적 지속성(1-persistent) - 채널이 사용 중인지 일정한 시간 간격동안 검사 - 채널이 비어있을 때 바로 프레임을 전송하기 때문에 여러 호스트가 몰려 충돌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비지속성(nonpersistent) - 채널이 사용 중인지 랜덤한 시간동안 기다린 후에 검사 - 절대적 지속성보다 충돌이 발생할 가능성이 적다. 확률적(p-persistent) - 절대적 지속성 방법과 동일하게 채널이 사용 중인지를 일정한 시간 간격동안 검사 - 하지만 채널이 비어있을 때 바로 프레임을 전송하지 않고 확률적(p)으로 전송하기 ..
MAC 계층 - LAN은 선로의 물리적 특성을 반영하여 구분함 - 이더넷 공유 버스 구조를 지원하며, 충돌(collision) 현상 발생 충돌 감지 기능이 필요 - 토큰 링 링 구조를 지원 토큰을 사용해서 데이터 전송 시점을 제어하므로 충돌 발생 불가 LLC 계층 - OSI 7의 데이터 링크 계층 기능을 수행 - LAN의 물리적 특성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받음 IEEE 802 시리즈 - IEEE 802.1: 표준안 전체를 소개 - IEEE 802.2: LLC 계층을 소개 - IEEE 802.3 : 이더넷으로 알려진 CSMA/CD 방식을 규정 - IEEE 802.4 ~ 이후: 토큰 버스, 토큰 링 등 다양한 환경의 MAC 계층을 소개 CSMA/CD 방식 (IEEE 802.3) - 충돌 감지 기능이 필수적으로..
체크섬(Checksum) : 인터넷 프로토콜(ICMP, UDP, TCP) 프로토콜에서 오류를 검출하기 위해 사용 송신 호스트가 송신 데이터를 통해 체크섬을 만드는 방법 1) 모든 데이터를 더한다 2) 덧셈 과정에서 carry가 있다면 warpping을 해준다 3) 1의 보수를 취한다 (-> 체크섬) 4) 체크섬을 포함한 데이터를 수신 호스트에게 보낸다 수신 호스트가 수신 데이터의 체크섬을 통해 오류 검출 방법 1) 체크섬을 포함한 모든 데이터를 더한다 2) 덧셈 과정에서 carry가 있다면 warpping을 해준다 3) 1의 보수를 취한다 4) 그 결과가 0이면 오류가 없고, 0이 아니면 오류가 있다고 판단 ex) 송신 호스트가 수신 호스트에게 4비트 숫자 데이터 (7, 11, 12, 0, 6)를 보내고..
패리티 (Parity) - 1 바이트 = 7 비트 ASCII 코드 + 1 비트 패리티 - 짝수 패리티: 1의 개수가 짝수가 되도록 패리티를 지정 - 홀수 패리티: 1의 개수가 홀수가 되도록 패리티를 지정 - 송신 호스트와 수신 호스트는 동일한 패리티 방식을 사용해야 함 블록 검사(Block Sum Check) - 짝수개의 비트가 깨지는 오류를 검출 - 수평, 수직 방향 모두에 패리티 비트를 지정 다항 코드(Polynomial Code) 방식 (CRC(Cyclic Redundancy Code)코드 또는 FCS(Frame Check sequence)라고도 함) - 생성 다항식 ex: 다항코드 100101 = 생성 다항식 x^5 + x^2 + 1 - FCS 전송 데이터와 생성 다항식을 이용하여 계산 - 송신 ..
프레임(Frame) : 송수신 호스트 MAC주소, 제어 정보, FCS 등의 정보 문자 프레임(Character Frame) - 프레임의 내용이 문자(8비트 ASCII 코드)로만 구성됨 - IBM의 BSC 및 ISO의 Basic 프로토콜에 사용 - 프레임의 시작과 끝에 특수 문자 사용 - 시작: DLE(Data Link Escape), STX(Start of Text) - 끝: DLE(Data Link Escape), ETX(End od Text) - 전송 데이터 내에 이러한 특수 문자가 포함되면 혼선이 발생 문자 스터핑(Character Stuffing) - 문자 프레임 전송과정에서 제어 문자를 추가하는 기능 - 송신 호스트: 데이터에 DLE 문자가 있으면 강제로 DLE 문자 추가 - 수신 호스트: 데이..
정규형(Normal Form, NF) : 릴레이션 스키마에 있는 함수종속의 유형에 따라 정규화된 정도를 등급으로 구별함 정규형 등급이 높아질수록 데이터의 중복이 적어지고 이상현상이 줄어듦 FD를 기반으로 하는 정규형 : 제1정규형 (first normal form: 1NF), 제2정규형 (second normal form: 2NF), 제3정규형 (third normal form: 3NF), 보이스-코드 정규형 (Boyce-Code normal form: BCNF) 그 외의 정규형 : 제4정규형 (fourth normal form: 4NF), 제5정규형 (fifth normal form: 5NF or PJNF)) 1) 제1정규형 (first normal form: 1NF) : 릴레이션에 있는 각 필드가 원..
스래드는 프로세스 내부에 존재(프로세스는 하나의 스래드로 구성된 태스크) - CPU 제어의 흐름(flow of CPU control) - 실행 단위(unit of execution) - 한 프로세스 내부에서 스케줄링이 가능한 개체 - 경량(lightweight) 프로세스 단일 스래딩(single-threading): 프로세스 내부에 오직 하나의 스래드만 존재한다 다중 스래딩(multi-threading): 프로세스 내부에 다수의 스래드들이 존재할 수 있다. 프로세스와 같은 점 - CPU를 할당하는 대상(dispatchable objects of CPU) - 시스템 내부에서의 작업 단위(unit of works in a system) - 상태를 가지고 있으며 상태 변환이 일어난다. - 독립적이며 비동기적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