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베이스/Database]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 정의, 기능, 장단점, 데이터 독립성, 역사(이 글은 대학생이 강의를 이해한 대로 정리한 것이므로 정확하지 않을 수 있음) 1.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의 정의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 DataBase Management System): 응용 프로그램과 데이thdbs523.tistory.com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은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고 사용자가 요구하는 연산을 수행한다. ① 사용자가 표현한 데이터베이스 접근 요구(access request)를 접수해서 조사 분석 ②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 ③ 외부 스키마, 외부/개념 사상, 개념 스키마, 개념/내부 사상, 내부 스키마 그리고 저장 구조를 통해 목..
데이터베이스 시스템(DBS: DataBase System):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로 저장하고 관리해서 필요한 정보를 생성하는 컴퓨터 중심의 시스템. 데이터베이스,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관리자. 데이터베이스 컴퓨터를 포함한다. 스키마(schema): 데이터베이스 구조(개체와 관계)와 제약조건에 대한 명세를 기술한 것. 3단계 데이터베이스: 하나의 데이터베이스를 외부 단계(개인의 뷰), 개념 단계(기관 전체의 뷰), 내부 단계(저장 장치의 뷰)로 나누어 기술하는 것.각 단계에서의 스키마를 외부 스키마, 개념 스키마, 내부 스키마라 한다. ① 외부 스키마(external schema): 개개 사용자나 응용 프로그래머가 접근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정의한 것. 데이터베이스 전체의 한 논리적..
1.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의 정의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 DataBase Management System): 응용 프로그램과 데이터의 중재자로서 모든 응용 프로그램들이 데이터베이스를 공용할 수 있게끔 관리해 주는 소프트웨어 시스템. 파일 시스템에서 야기된 데이터 종속성과 중복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시스템이다. 2.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의 필수 기능 ① 정의(definition) 기능 - 하나의 물리적 구조의 데이터베이스로 여러 사용자들의 요구를 지원해 줄 수 있도록 데이터를 조작하는 기능. 이 데이터 정의에는 논리적 구조의 명세, 물리적 구조의 명세, 논리적 구조와 물리적 구조 사이에 상호 변환을 위한 사상(mapping)을 명세해야 한다. ② 조작(manipulation)..
1. 데이터베이스의 개념적 구성요소 데이터베이스는 개체(entity)와 관계(relationship)의 집합으로 구성되어 있다. (논리적 구성요소) 개체: 서로 구별되는 데이터베이스 정보의 단위. 파일의 레코드(record)에 대응한다. 개체는 하나 이상의 속성(attribute)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학생이라는 개체가 있을 때, (학번, 이름, 학과)를 개체 타입(entity type)이라 한다. 이 때 학번, 이름, 학과 하나하나를 속성이라 한다. 처럼 각 속성에 값이 대입된 하나의 값을 개체 인스턴스(entity instance)라 하며, 이 인스턴스들의 집합을 개체 집합(entity set)이라 한다. 관계: 개체 집합과 개체 집합 간에는 여러 가지 유형의 관계가 존재할 수 있다. 어느 한 개체..
1. 데이터 종속성을 설명하고, 그 문제점과 해결책을 설명하시오. 응용 프로그램과 데이터 간의 상호 의존 관계를 말한다. 즉 데이터의 구성 방법이나 접근 방법을 변경할 때는 응용 프로그램도 같이 변경 시켜야 하는데, 현실적으로 응용 프로그램 관리가 어렵고 유지보수의 비용이 증가한다. 이는 파일 시스템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으로, 파일 시스템 대신 DBMS를 사용한다면 DBMS의 데이터 독립성으로 인해 해결할 수 있다. 2. DBMS의 필수 기능을 설명하시오. 정의 기능, 조작 기능, 제어 기능이 필수적으로 구비되어야 한다. 정의 기능은 하나의 물리적 구조의 데이터베이스로 여러 응용 프로그램들의 요구를 지원해 줄 수 있도록 데이터를 조작하는 기능이다. 논리적 구조와 물리적 구조를 명세해야 하며, 논리적 구조와..
파일 시스템(file system): 파일 중심의 데이터 처리를 위한 시스템. 파일시스템의 특성 ① 응용 프로그램은 응용 프로그래머가 생각하는 논리적 파일 구조를 직접 물리적 파일 구조로 구현해야 된다. ② 응용 프로그래머는 물리적 데이터 구조에 대해 잘 알고 있어야만 데이터에 대한 접근 방법을 응용 프로그램 속에 효율적으로 구현시킬 수 있다. ③ 모든 응용 프로그램이 자기 자신의 데이터 파일을 가지고 있어야만 되는 환경이기 때문에 결국 하나의 파일은 하나의 응용만을 위해 존재하게 된다. 즉, 데이터 공용을 할 수 없는 파일시스템은 응용 프로그램과 파일과의 1:1 관계를 가진다. 이러한 파일 시스템의 가장 큰 문제점은 데이터 종속성(data dependency)과 데이터 중복성(data redundanc..
1. 정보와 데이터의 차이를 설명하시오. 데이터는 관찰이나 측정을 통해서 수집된 사실이나 값을 뜻하고, 정보는 의사결정을 할 수 있는 데이터의 해석이나 상호 간의 관계로부터 의미있는 정보를 추출한 것을 뜻한다. 즉 데이터가 처리되어 정보가 생성된다. 2. 의사결정지원시스템을 설명하시오. 정보를 통한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시스템으로, 넓은 의미로 정보 시스템을 뜻하기도 한다. 의사결정지원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웨어하우스는 의사결정을 하기 위해 데이터/정보를 구축, 저장하는 것이다. 데이터마이닝은 데이터/정보로부터 의미있는 지식들을 추출해내는 것이다. 즉, 어떤 rule이나 pattern을 찾기 위해 지식을 캐낸다. 또한 지식관리시스템은 이를 바탕으로 추출된 데이터/정보들을 바탕으로 지식을 관리하는 것이다. 3...
1. 데이터베이스 정의 1963.06 - SDC(System. Development Corporation)의 제1차 "컴퓨터 중심의 데이터베이스 개발과 관리(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a Computer-centered Data Base" 심포지엄 제목에서 데이터베이스란 용어가 처음 사용 1965.09 - SDC 제2차 "컴퓨터 중심 데이터베이스 시스템(Computer-centered Data Base Systems)" 심포지엄 제목에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이란 용어가 처음 사용 데이터베이스(database): 한 조직의 여러 응용 시스템들이 공용할 수 있도록 통합, 저장된 운영 데이터의 집합 ① 통합 데이터(integrated data) - 원칙적으로 중복되어 있지 않음. (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