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듈화 - 프로토콜 설계 과정을 모듈화 - 크고 복잡한 시스템을 기능별로 여러 개의 작고 단순한 모듈로 독립화 - 함수별로 특정 기능을 독립적으로 수행하도록 함 - ex: C 프로그래밍 언어의 함수 개념 - 모듈 사이의 적절한 인터페이스가 필요 - 고장난 부분을 모듈단위로 수정하거나 교체하기 용이함 계층 구조 - 상위 모듈이 하위 모듈에게 서비스를 요청 - 하위 모듈은 서비스를 실행하고 그 결과를 상위 모듈에 통보 모듈화된 계층 구조의 장점 - 전체 시스템을 이해하기 쉬움 - 설계 및 구현이 용이 - 모듈의 독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는 시스템 구조를 단순화시키는 장점이 됨 - 동일 계층 사이의 인터페이스인 프로토콜을 단순화시킬 수 있음 - 고장 시 특정 모듈만 수정하므로 전체 시스템의 동작에 영향..
주소(Address) 역할: 시스템을 서로 구분하는 역할을 함(identifier) 특징: 유일성, 확장성, 편리성(숫자/문자 이용), 정보의 함축(ex: 주민번호는 생년월일, 성별 등을 알 수 있음) 종류: MAC 주소, IP 주소, 포트(port) 주소 IP 주소 - IPv4 프로토콜에서 사용 - 32 비트 크기의 주소 체계(8비트씩 4부분으로 나누어 표현) - IPv6에서는 128 비트 주소 체계로 확장 - 예: 211.223.201.30 (211.223.201-> 네트워크 주소 30-> 호스트 주소) IP 주소를 일정한 규칙에 따라 그룹으로 묶어서 관리 IP 주소는 패킷의 경로를 설정하는 중요한 요소 호스트 파일 - 호스트 이름과 IP 주소를 변환하는 방법 - 호스트 이름과 IP 주소의 조합을 텍..
네트워크의 연결 - 인터네트워킹 간 네트워크는 물리적으로 다른 종류도 가능 - 인터네트워킹 시스템은 상대방의 서로 다른 물리적 기능적 인터페이스를 상호 지원해야 함 * 인터네트워킹(Internetworking): 네트워크와 네트워크와의 연결 게이트웨이(Gateway): 인터네트워킹 기능을 수행하는 시스템 - 리피터(Repeater): 물리 계층을 지원 (신호 증폭) - 브리지(Bridge): 물리 계층과 데이터 링크 계층을 지원 물리적인 주소를 이용하여 연결을 지원 - 라우터(Router): 물리 계층, 데이터 링크 계층, 네트워크 계층을 지원 경로 선택 기능을 제공 IP 주소를 이용하여 연결을 지원 라우팅 테이블을 보관하고 이를 활용함 프로토콜 데이터 단위(Protocol Data Unit, PDU) ..
네트워크(Network) - 전송 매체로 서로 연결된 시스템의 모음 -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교환하는 시스템의 집합을 통칭 - 라우터(Router) : 네트워크의 중계 장비 시스템(System) - 내부 규칙에 따라 능동적으로 동작하는 대상(물리적, 논리적 대상으로 구분) - 예: 컴퓨터, 자동차, 커피 자판기, 마이크로 프로세서, 운영체제, 프로세스 인터페이스(Interface) - 시스템과 시스템을 연결하기 위한 표준화된 접근 방법 - 예: RS-232C, USB 통신 규격(논리적 규격과 물리적 규격이 필요) 전송매체(Transmission Media) - 시스템끼리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한 물리적인 전송 수단(케이블, 공기, 전파) 프로토콜(Protocol) - 전송 매체를 통해 데이터를 교환..
디스크 쿼터: 디스크 사용량을 제한하는 것 디스크 쿼터를 설정하는 방법 - 디스크에서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는 용량을 설정하는 방법 -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는 파일 수로 설정하는 방법 쿼터 값을 설정하는 방법 - 하드 리미트 : 사용자가 절대로 넘을 수 없는 최대치를 명시한 값 - 소프트 리미트 : 일정 시간 내에는 넘을 수 있는 한계 값 1) 쿼터 속성 설정하기 디스크 쿼터는 사용자별 혹은 그룹별로 설정할 수 있다. usrquota : 개별 사용자의 쿼터를 제한할 수 있는 속성 grpquota : 개별 그룹의 쿼터를 제한할 수 있는 속성 파일 시스템의 마운트 옵션에 usrquota 또는 grpquota의 쿼터 속성을 지정해야 함. (/etc/fstab 파일에 설정) ex) vi로 /etc/fstab ..
파일 및 디렉터리의 소유자와 소유 그룹 변경하기(chown, chgrp) chown 사용자명 파일명 : 파일의 소유자를 변경. chown 사용자명:그룹명 파일명 : 파일의 소유자와 소유 그룹을 변경. chown -R 사용자명:그룹명 디렉터리명 : 소유자와 소유 그룹을 디렉터리의 서브 디렉터리(파일)까지 변경. chgrp 그룹명 파일명 : 파일의 소유 그룹 변경. chgrp -R 그룹명 디렉터리명 : 소유 그룹을 디렉터리의 서브 디렉터리(파일)까지 변경. passwd 명령 활용하기 passwd -l 사용자명 : 사용자의 암호 잠그기(/etc/shadow 파일의 암호 맨 앞에 !가 붙여짐) passwd -u 사용자명 : 사용자의 암호 잠금 해제 passwd -d 사용자명 : 사용자의 암호 삭제
일반 사용자가 root 권한을 사용하는 방법 1) su 명령 사용(root 계정으로 전환) 모든 권한을 가지게 됨 보안상 매우 위험 2) sudo 명령 사용(root 계정 이외에도 다른 사용자 계정으로 전환 가능) 특정 작업만 수행할 수 있는 권한만 부여 제한적인 권한 부여 sudo 권한 설정하기 특정 권한 부여: /etc/sudoers 파일에 설정. root 계정으로만 수정 가능(visudo 명령으로 수정) /etc/sudoers 파일 설정 형식 : 사용자 계정 호스트=명령어 ex) root 계정: root ALL=(ALL:ALL) ALL (어디서나 어느 명령이든지 실행할 수 있음을 의미) ex) user5에게 사용자 추가, 수정 권한 부여: user5 ALL=/usr/sbin/useradd, /usr..
UID와 EUID UID(Real UID) : 사용자가 로그인할 때 사용한 계정의 UID EUID(Effective UID) : 현재 명령을 수행하는 주체의 UID UID와 EUID가 달라지는 경우(보통은 UID와 EUID가 같은 값을 가짐) - su 명령을 사용하여 다른 계정으로 전환한 경우 : EUID가 다른 계정의 UID로 바뀐다. - SetUID 비트가 설정된 실행 파일을 실행할 경우 : EUID가 실행 파일의 소유자로 바뀐다. * 파일 소유자 = 파일을 만든 프로세스의 사용자 ID 접근 권한의 맨 앞자리는 특수 접근 권한을 의미. ↓ [리눅스/Linux] 특수 접근 권한(SetUID, SetGID, 스티키 비트)(이 글은 대학생이 강의를 이해한 대로 정리한 것이므로 정확하지 않을 수 있음) 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