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728x90

https://www.acmicpc.net/problem/14567

 

14567번: 선수과목 (Prerequisite)

3개의 과목이 있고, 2번 과목을 이수하기 위해서는 1번 과목을 이수해야 하고, 3번 과목을 이수하기 위해서는 2번 과목을 이수해야 한다.

www.acmicpc.net

 

문제

올해 Z대학 컴퓨터공학부에 새로 입학한 민욱이는 학부에 개설된 모든 전공과목을 듣고 졸업하려는 원대한 목표를 세웠다. 어떤 과목들은 선수과목이 있어 해당되는 모든 과목을 먼저 이수해야만 해당 과목을 이수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공학인증을 포기할 수 없는 불쌍한 민욱이는 선수과목 조건을 반드시 지켜야만 한다. 민욱이는 선수과목 조건을 지킬 경우 각각의 전공과목을 언제 이수할 수 있는지 궁금해졌다. 계산을 편리하게 하기 위해 아래와 같이 조건을 간소화하여 계산하기로 하였다.

  1. 한 학기에 들을 수 있는 과목 수에는 제한이 없다.
  2. 모든 과목은 매 학기 항상 개설된다.

모든 과목에 대해 각 과목을 이수하려면 최소 몇 학기가 걸리는지 계산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여라.

입력

첫 번째 줄에 과목의 수 N(1 ≤ N ≤ 1000)과 선수 조건의 수 M(0 ≤ M ≤ 500000)이 주어진다. 선수과목 조건은 M개의 줄에 걸쳐 한 줄에 정수 A B 형태로 주어진다. A번 과목이 B번 과목의 선수과목이다. A < B인 입력만 주어진다. (1 ≤ A < B ≤ N)

출력

1번 과목부터 N번 과목까지 차례대로 최소 몇 학기에 이수할 수 있는지를 한 줄에 공백으로 구분하여 출력한다.

 

 

 

2252번 위상 정렬의 기본적인 문제와 거의 동일하다.

대신 인덱스를 줄 세우는 것이 아닌 몇학기에 수업을 들을 수 있는지 구하는 문제다.

 

큐에 인덱스 하나만 넣는게 아니라, int[] 로 인덱스와 학기를 넣어야 한다.

처음부터 진입차수가 0인 원소는 1학기부터 들을 수 있으므로 1로 설정하고,

처음부터 진입차수가 0이 아니었던 원소는 이전에 연결된 원소의 학기 +1로 설정한다.

 

위상 정렬 그래프가 아래와 같을 경우 

1은 진입차수가 0이기 때문에 1학기에 들을 수 있고,

2는 (1의 학기) + 1 이므로 2학기,

3은 (2의 학기) + 1 이므로 3학기가 된다.

1 -> 2 -> 3

 

 

처음에는 출력할 StringBuilder에 "0 ".repeat(N)을 해서 일단 0으로 채우고,

큐에서 꺼낼 때마다 setCharAt을 통해 해당하는 값을 변경해줬는데,

int형식의 학기를 char형식으로 바꾸면서 오류가 생긴 건지 자꾸 틀렸다고 떴다. (테스트 케이스는 잘 됨..)

 

그래서 결과값을 저장할 result[] 배열을 따로 만들어 저장하고,

마지막에 append를 통해 출력값을 생성했다.

 

import java.util.*;
import java.io.*;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StringTokenizer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int N = Integer.parseInt(st.nextToken()); // 과목 수
		int M = Integer.parseInt(st.nextToken()); // 선수 조건 수

		StringBuilder sb = new StringBuilder();
		
		int indegree[] = new int[N + 1];
		ArrayList<Integer> list[] = new ArrayList[N + 1];

		for(int i=1;i<=N;i++)
			list[i] = new ArrayList<>();

		for(int i=0;i<M;i++) {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int pre = Integer.parseInt(st.nextToken());
			int next = Integer.parseInt(st.nextToken());

			list[pre].add(next);
			indegree[next]++;
		}
		
		// 인덱스, 학기
		Queue<int[]> q = new LinkedList<>();
		int result[] = new int[N];
		
		for(int i=1;i<=N;i++)
			if(indegree[i] == 0) 
				q.offer(new int[] {i, 1});
		
		while(!q.isEmpty()) {
			int arr[] = q.poll();
			int idx = arr[0];
			int semester = arr[1];
			result[idx - 1] = semester;
			
			for(int i : list[idx])
				if(--indegree[i] == 0)
					q.offer(new int[] {i, semester + 1});
		}
		
		for(int i=0;i<N;i++)
			sb.append(result[i]).append(' ');
		
		System.out.println(sb);
	}

}
728x90
250x250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more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글 보관함